미진사

> 미진사 > 분야별 도서

분야별 도서 분야 별로 보는 미진사 도서

미술사 미술이론

미술사 미술이론

시대와 한국미술

오광수 한국 근현대미술 앤솔로지 ( 이 책은 저자의 고희를 맞이하여 간행된 『한국 현대미술 새로 보기』와 더불어 저자가 그동안 여러 지면에 발표하였던 글들을 새롭게 모은 앤솔로지이다.)

저자/역자 오광수
정가 20,000원
ISBN 978-89-408-0302-8
발행일(초판일) 2007-11-20 / 2007-11-20
판형 A5 변형
페이지수 368쪽
도서상태 정상
판매처 교보문고,YES24,인터파크,알라딘,반디

이 책의 저자 오광수는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한국 현대미술의 이론과 지식의 기반을 새롭게 구축하고 심화시키면서 미술 창작 및 전시 방향에 크고 깊은 영향을 미쳐왔다. 그 세월동안 저자가 여러 매체에 기고한 글들을 모아 이 책, 『시대와 한국미술』을 만들었다.
이 책은 ‘전통계승의 자세’, ‘근대와 근대의식’, ‘시대와 미술’, ‘작가와 작품’ 이렇게 전체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1부의 ‘전통계승의 자세’는 1963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미술평론 부문 당선작으로서 저자에겐 데뷔작인 셈이다. 이 글은 비평가로서의 저자의 방향성을 예시해주고 있다. 2부의 ‘근대와 근대 의식’은 저자가 한국 근대미술에 관심을 가지면서 쓴 내용을 묶은 글들이다. 비평가로 출발하였으나 이 영역에 대한 연구는 저자에게 점차 주요한 작업의 하나로 자리 잡게 되며, 현재 한국 근현대미술을 공부하는 후학들에게 심대한 영향을 끼친 작업이기도 하다. 3부 ‘시대와 미술’은 한국 모더니즘의 체계화와 시대에 따른 주요 동향에 대한 내용들을 엮었다. 4부 ‘작가와 작품’은 주로 작고한 한국의 대표적 작가들을 대상으로 작품론에 대해 쓴 것이다.
이 책은 한 연구자의 연대기이자 한국 현대미술 연구에 있어 주요한 화두에 대한 논의들을 엮은 모음집이기도 하다. 이 책의 말미에 부록으로 정리된 김달진(김달진미술연구소 소장)의 방대한 논저목록을 본다면 50년 가까운 세월동안 저자가 얼마나 치열하고 꾸준하게 우리 미술에 대해 애정을 가지고 연구를 해왔는지를 알게 될 것이다.




우리의 문화 전반적인 풍토가 이상하게 현대적인 것에 우위를 두는 사상이 팽배해 있는 인상을 받을 때가 있다. 미술에 국한시켜 보더라도, 언제나 현대는 있지만 근대는 거의 무시되다시피 하고 있다. 그만큼 근대는 의식되고 있지 않는 편이다. 왜일까. 아마도 버리고 싶은 기억으로서의 식민지 체험이 온통 이 근대란 시대에 적용되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근대가 하나의 발전의 개념, 혁신의 가치로서 받아들여지기보다 타기해야 할 일제하의 왜곡된 방식의 도입과 등식을 이루고 있다는 데서 우리의 근대 인식은 퍽 굴절된 것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현대가 역사에서 토막 난 시간대가 아니라 과거의 연장선상에서의 오늘이란 의미를 지닌다고 할 때, 현대와 직접적으로 이어져 있는 근대는 현대와 가장 많은 부면에서 직접적인 관계를 지니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현대란 따지고 보면, 근대에서 연유된 것, 근대와의 필연적인 역사적 인과성을 떨쳐버릴 수 없다는 점에서 더욱 근대는 그 중요성을 띠고 있는 것이다.

- 본문 59쪽, 「우리 미술에 있어서의 근대와 근대주의」(1988)중에서 

1938년생. 『공간』편집장, 『미술평단』․『현대미술』주간, 환기미술관․국립현대미술관 관장,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커미셔너, 광주 비엔날레 전시 총감독, 서울 미디어아트비엔날레 조직위원장 역임

현재 한솔문화재단․이랜드문화재단․유영국문화재단 이사, 이중섭미술관 명예관장, 서울시립미술관․이응노미술관 운영자문위원장, 포천 아시아비엔날레 조직위원장

서문

I. 전통 계승의 자세: 동양화의 내일을 위하여

II. 근대와 근대 의식
1. 회화에 있어서 근대란 무엇인가
2. 우리 미술에 있어서의 근대와 근대주의
3. 근대적 시점과 근대화 과정
4. 한국 현대회화의 올바른 전통의 계승: 한국 현대미술의 정체성(전통과 창조)을 찾아서
5. 근현대기 한국화 운동과 제도

III. 시대와 미술
1. 한국 초기 모더니즘의 계보: 1930년대 후반부터 1957년까지
2. 복구와 도약: 1950~1960년대 미술 상황
3. 추상,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가
4. 1970년대 한국미술의 비물질화 경향
5. 평면에의 환원, 구조로서의 평면
6. 1980년대 미술, 모더니즘 이후
7. 한국 추상미술, 그 계보와 동향
8. 1980년대 한국미술의 정황
9. 단색화와 현대 수묵화 운동
10. 형태 의지와 색채 충동: 남과 북 미술가의 대비적 성향에 대한 연구

IV. 작가와 작품
1. 이중섭의 예술과 민족의식
2. 우상 파괴와 신화의 창조: 백남준의 예술적 기조와 궤적
3. 사유의 지속성: 김종영의 조각과 밑그림
4. 이응노의 ‘군상(群像)’ 연작
5. 격조와 비판: 월전의 만년작
6. 추상의 길, 유영국 1주기전
7. 김환기 예술의 내면과 표상

V. 오광수 주요 논저 목록
정리 - 김달진(김달진미술연구소 소장)
프로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