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진사

> 미진사 > 분야별 도서

분야별 도서 분야 별로 보는 미진사 도서

미진신서

현대미술 문화비평

대학교수, 희곡작가, 문화예술 비평가로 왕성한 활동을 벌이고 있는 지은이가 1980년대에 월간예술지 <공간>에 연재했던 현대문화예술 전반에 걸친 평문을 엮은 것이 이 책이다.

저자/역자 홍가이
정가 13,000원
ISBN 89-408-0023-0
발행일(초판일) 1995-12-20 / 1987-11-25
판형 A5
페이지수 260쪽
도서상태 절판
판매처 교보문고,YES24,인터파크,알라딘,반디
여기에 실린 글들은 교과서적인 객관성에 기댄 상황보고서의 성격이 아닌 문화예술 일반에 대한 지은이의 폭 넓은 식견과 독특한 해석 그리고 철학적 견해가 집약되어 돋보이는 시각을 읽게 된다.
지은이 홍가이 철학자ㆍ평론가ㆍ희곡작가 미쉬간대학교 및 동 대학원(MIT) 졸업(박사학위) 미국 프린스톤, 바그너 대학, 유럽의 캠브리지, 메릴랜드 강사 및 교수 역임

책머리에           6

I.  현대화의 패러독스와 문화적 대응

현대문화(現代文化) 상황의 특성(特性)      10
1. 현대화와 그 문제점-합리화의 패러독스       16
2. 現代性의 고뇌        20
3. 모더니스트들의 대응        25

역사적 아방가르드 - 다다와 네오다다       28

후기 모던의 시대는 진정 도래했고, 현대화의 프로젝트는 종말을 고한 것일까?  39
1. 현대화 • 합리화의 패러독스와 컴퓨터 정보기술     39
2. ‘現代性의 프로젝트’의 구원과 소통적 합리성     47

광의(廣義)의 예술(藝術) - 이론개요       54

 

II. 東西文化의 접목은 가능한가?

오늘의 세계문화 상황과 미술의 장래      68
1.現代美術의 전통과 新表現主義의 허구성      69
2. 서베를린에서의 신표현주의풍의 두 한국인 화가의 전시회를 보고   117

 

현대 서양화의 맥락과 동양인 화가       131
1. 사이또 요시시게展d에 부쳐       131
2. 사이또展一 ‘作品’의 개념       132
3. 反작품적 예술의 태동        135
4. ‘Seisaku'의 ’ing' 化一 그 문제점      138

한국 현대미술을 보는 한 관점        143
1.현대화 과정과 민족문화       143
2. 西田哲學과 李禹煥의 작업       146
3. 禪의 논리화는 가능한가?       148
4. 미술의 영역과 철학의 영역       150
5. 평면작업 시도의 의미        154
6. 문화적 위기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157
7. 동서문화의 접목은 가능한가?       159
8. 민족문화 • 민중문화의 문제       161

 

III. 현대화에 있어서 한국문화의 진단

88서울 올림픽이 한민족에게 주는 의의       166
1. 고대 희랍시대의 인간상과 올림픽 경기      167
①올림픽 경기 본연의 意義       167
②쿠베르탕 백작과 고대 올림픽의 부활      177
③현대 올림픽의 제문제와 ‘88 올림픽의 意義     185

2. ‘88올림픽의 意義        187
①‘88올림픽의 對外的 意義       190
②‘88올림픽의 對內的 意義       196
③문화적 주체성과 근대화       201

‘현대화’에서 잃어버린 한국예술       211
1.성공한 운영, 실패한 문화제        211
2. 축제행사에 동원된 문화예술의 평가      212
3. ‘비옹사옹’의 ‘한국적’ 의미      213
4. 철학적 허점과 知的 실패       215
5. 플라스틱 문화와 패키지 문화       217
6. 현대화로 인한 고유 가치관의 붕괴      219
7. 진정한 ‘한국적인 것 찾기’ 운동      221
8. 체험과 역사적 경험으로서의 한국 현대예술     222
9 ‘한국적’은 철학적 사고의 결여로 실패했다     224
 
한국미술사 서술의 현황과 방법론의 제문제      226
1. 序一 일반적 서술        226   
2. 韓國회화사의 오늘 一高裕燮, 安輝濬, 李東洲     232
3. 韓國회화사의 미래를 위한 제시      248
4. 韓國회화사에 있어서 民畵의 위치      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