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진사

> 미진사 > 분야별 도서

분야별 도서 분야 별로 보는 미진사 도서

미술사 미술이론

한국화의 재료와 기법

저자/역자 정종미
정가 28,000원
ISBN 9788940806722
발행일(초판일) 20230322 / 20230322
판형 188*257
페이지수 360쪽
도서상태 정상
판매처 교보문고,YES24

우리 미술 속의 벽화와 불화, 민화의 조형 언어를 현대적으로 창출해내고 전통 재료를 이용한 독특한 채색 기법으로 한국미술의 지평을 넓혀온 화가 정종미의 책이다. 한국화의 재료와 기법은 전통 회화에 대한 재료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안료의 미시적 분석과 전색제에 따른 물감의 종류별 특성, 기능, 사용법을 소개한다.

저자는 우리 미감의 정체성을 아는 일이 우리 자신을 아는 일이며 이는 곧 한국미술의 미래를 여는 길이라고 말한다. 아울러 동·서양화나 채색·수묵 사이에 있는 논란과 갈등은 재료학을 통해 극복될 때 비로소 회화라는 통합적 차원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말한다. 한국미술에 대한 저자의 웅숭깊은 시각은 다채로운 회화의 세계로 우리를 초대한다. 한국화에 관심이 있거나 재료학에 대한 기초 개념을 정립하고 싶은 일반 독자와 연구자, 한국미술의 전통적 미감과 정서를 입체적으로 경험하고 싶은 이들에게 추천하는 책이다.

정종미

1957년 대구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와 동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했고 1994년부터 1995년까지 뉴욕 파슨스 디자인 스쿨(Parsons School of Design)과 디외 도네(Dieu Donne) 종이 공방 등에서 수학했다. 고려대학교 디자인조형학부에 재직했으며 색채연구소장을 역임했다. ‘한국콘텐츠진흥원’,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한국연구재단등에서 전통 미술 문화와 관련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우리 미술 속의 벽화와 불화, 민화의 조형 언어를 현대화하는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콩댐 기법이나 들기름, 안료와 염료 등을 이용한 독특한 채색 기법으로 몽유도원도연작, 어부사시사연작 등의 현대적 산수화를 시도했고, 한지를 새롭게 해석한 종이 부인연작, 여성성에 바치는 헌사연작으로 한국화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해왔다.

국내외에서 25회의 개인전과 다수의 초대 기획전을 가졌다. 200113회 이중섭 미술상’, 201213회 이인성 미술상을 수상했다. 저서로는 우리 그림의 색과 칠(2001), KSH 재료기법 활용 매뉴얼(2017)이 있다.

추천사

머리말

 

1. 안료

 

1. 한국화 안료의 개요

2. 안료의 종류와 성질

1) 천연 안료

천연 석채 | 천연 수간채

 

2) 인공과 합성 안료

신석채 | 합성 석채 | 합성 분채 | 드라이 피그먼트 | 봉채/안채/편채 | 튜브물감

 

3. 안료의 입자와 발색

1) 안료 입자의 발색 원리

2) 한국화 안료의 종류와 입자별 크기

3) 한국화 물감의 종류와 입자별 크기

 

4. 색상별 안료의 특징

1) 흰색

합분 | 백악 | 고령토 | 수정말 | 방해말/대리석 가루 | 운모 | 경석 | 활석 | 티타늄 화이트 |

연분/연백/호분 | 바륨 화이트/블랑픽스 | 석고 | 규토

 

2) 황색

석황 | 황토 | 황색 분채 | 황단/장단 | 카드뮴 옐로 | 등황 | 황벽 | 치자 | 괴화 | 울금 |

인디언 옐로

 

3) 적색

주사 | 산호분 | 석간주 | 은주/진사/버밀리언 | 적색 분채 | 연단 | 카드뮴 레드 | 천초 |

홍화 | 소목 | 양홍/코치닐 | 연지벌레/

 

4) 녹색

석록 | 녹토 | 녹색 분채 | 동록 | 코발트 그린 | 프탈로시아닌 그린

 

5) 청색

석청 | 군청 | | 청색 분채 | 울트라마린 블루 | 프탈로시아닌 블루 | 코발트 블루 |

망간 블루 | 프러시안 블루 | 세룰리안 블루 | 버디그리 블루

 

6) 갈색

대자 | 로 시에나 | 로 엄버 | 인디언 레드 | 라이트 레드 | 세피아 | 감즙 혹은 땡감 추출액 |

도토리 껍데기 추출액 | 호두 속껍질 추출액 | 그 밖의 갈색 안료

 

7) 자색

울트라마린 바이올렛 | 코발트 바이올렛 | 마스 바이올렛 | 망간 바이올렛 | 모브

 

8) 흑색

흑석지/석묵 | 스피넬 블랙 | 아이언 옥사이드 블랙/마스 블랙 | 백초상 | 석류흑 | 송연흑 |

유연흑 | 오배자 | 흑칠/옻칠 | 램프 블랙 | 차콜 | 본 블랙/아이보리 블랙 | 카본 블랙 | 그 밖의 합성 흑색 안료

 

9) 금속성 안료

금박과 은박 | 금니와 은니 | 쇄금

 

5. 안료 사용법

1) 안료의 종류별 사용법

2) 안료 개는 법

3) 물감 제조와 채색 기법

흰색 안료 | 황색 안료 | 적색 안료 | 녹색 안료 | 청색 안료 | 갈색 안료 | 자색 안료 |

흑색 안료

 

2.

 

1. 먹의 개념

2. 먹의 기원

1) 한국의 먹

2) 중국의 먹

3) 일본의 먹

 

3. 먹의 종류

1) 송연묵

2) 유연묵

3) 칠연묵

4) 안색묵과 청묵

안색묵 | 청묵 | 채묵

5) 액상묵

 

4. 먹의 제조

1) 먹 제조의 과정

우량 그을음의 선택 | 우량 교의 선택 | 약재의 선택 | 교 섞기 | 찌기 | 찧기 | 중량 재기 |

단련하기 | 그늘에서 말리기 | 광 먹이기

2) 먹 제조의 실제

유연묵 제조법 | 송연묵 제조법

 

5. 묵채와 묵립

1) 묵채

2) 묵립

불꽃과 먹색 | 입자 크기와 먹색 | 생묵과 먹빛

 

6. 수묵화와 유연묵

1) 동양과 서양의 색 개념

2) 수묵화와 흑백화

3) 동양 회화사에서 유연묵의 역할

 

7. 먹의 선택과 사용

1) 먹의 선택

2) 먹의 사용

 

8. 벼루

1) 벼루의 기원

한국의 벼루 | 중국의 벼루

2) 벼루의 선택

 

9.

1) 붓의 기원

2) 붓의 구조와 명칭

3) 붓의 종류

4) 붓의 제작

모필 제작 과정 | 초필 제작 과정

5) 붓의 선택

6) 붓의 사용법

 

3.

 

1. 전색제의 개념

2. 한국화의 전색제,

1) 교의 성분과 성질

2) 교의 종류

 

3. 교수 제조

1) 교의 친수화

2) 교의 용해

3) 교수의 보관

 

4. 교 포수

1) 포수의 개념

2) 교반수 만들기

3) 포수하기

정통식 교반수 포수 | 간편한 열 포수 | 다양한 바탕을 위한 교 포수 | 전색제에 따른 다양한 포수법

 

재료상 안내

참고문헌

색인

전통 회화에 대한 재료학적 연구로

한국미술의 정체성과 현대화의 초석을 마련하다

 

한국화의 재료와 기법은 전통 회화에 대한 재료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안료의 미시적 분석과 전색제에 따른 물감의 종류별 특성, 기능, 사용 방식을 담은 재료 기법서이다. 우리 미술 속의 벽화와 불화, 민화의 조형 언어를 현대적으로 창출해내고 전통 재료를 이용한 독특한 채색 기법으로 한국미술의 지평을 넓혀온 화가 정종미의 책이다.

이 책은 총 세 장의 본문으로 구성되었다. 1안료에서는 한국화 안료의 종류와 성질을 탐구하고 안료 입자의 발색 원리를 살핀다. 흰색, 황색, 적색, 녹색, 청색, 갈색, 자색, 흑색, 금속성 안료까지 각각의 특징을 소개하며 안료에 대한 기초 개념을 정리한다. 특히 안료의 사용법 중 물감 제조와 채색 기법부분에 주목할 만하다. 원색을 활용한 중색 기법의 예를 통해 오방색으로 다양 다층의 색상이 무한 표현될 수 있음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2에서는 먹의 기원과 개념, 종류 등의 내용을 살핀다. 특히 한상묵 필장과 유필무 필장의 도판 제공을 통해 먹 제조의 과정을 상세히 살폈다. 유연묵과 송연묵 제조법을 각각 소개함으로써 다채로운 먹 활용법을 제공한다. 이 밖에도 묵채와 묵립의 특성, 수묵화와 유연묵의 개념, 벼루와 붓에 대한 정보를 세세하게 짚어낸다. 3에서는 한국화 전색제로서의 교에 대한 성분과 성질, 종류 등 개념을 정립하고 포수법이나 보관법을 소개한다.

저자는 우리 미감의 정체성을 아는 일이 우리 자신을 아는 일이며 이는 곧 한국미술의 미래를 여는 길이라고 말한다. 아울러 동서양화나 채색수묵 사이에 있는 논란과 갈등은 재료학을 통해 극복될 때 비로소 회화라는 통합적 차원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말한다. 한국미술에 대한 저자의 웅숭깊은 시각은 다채로운 회화의 세계로 우리를 초대한다. 한국화에 관심이 있거나 재료학에 대한 기초 개념을 정립하고 싶은 일반 독자와 연구자, 한국미술의 전통적 미감과 정서를 입체적으로 경험하고 싶은 이들에게 추천하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