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진사

> 미진사 > 분야별 도서

분야별 도서 분야 별로 보는 미진사 도서

시각예술

동양화 구도론

동양화의 구도원리와 특수한 고려 사항들을 화론과 회화작품을 예로 제시하여 체계적으로 논술하였다.

저자/역자 왕백민 저 / 강관식
정가 20,000원
ISBN 89-408-0042-7
발행일(초판일) 2011-07-10 / 1991-06-05
판형 B5
페이지수 252쪽
도서상태 절판
판매처 교보문고,YES24,인터파크,알라딘,반디
중국의 저명한 미술사학자 왕백민 교수의 『중국화의 구도론中國畵的構圖』를 번역한 책으로, 복잡하고 다양한 동양화의 구도 원리와 특수한 고려 사항들이 매우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다. 
저자 왕백민 역자 강관식 1957년 충남 공주생으로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현재, 한성대학교 회화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역서: <중국회화이론사-미진사 1989)> < 중국회화비평사-미진사 1989> 가 있다.

한국어판에 대한 저자 서문 3  

I. 서설   6

II. 구도의 일반원리 9
1. 취함과 버림  9
2. 주와 객의 위치  14
3. 형상의 원근과 대소  24
4. 세의 파악과 묘사  27
5. 호응   40
6. 큰 여백과 작은 여백   52
7. 흑과 백, 허와 실  65  
8. 성김과 빽빽함, 이완과 긴장 75
9. 모임과 흩어짐  81
10. 가벼움과 무거움 큼과 작음  83
11. 감춤과 노출 가림과 드러남  87
12. 삼첩양단과 개합  93
13. 변각의 처리  99


III. 여러 가지 화면 형식의 구도법  108
1. 여러 가지 화면 형식  108
2. 선면의 처리법  116
3. 장권과 횡폭의 처리법   118

IV. 산수화의 특수한 구도법  144

V. 화조화의 특수한 구도법  153
1. 삽입과 교차 153
2. 성김과 빽빽함  155
3. 분산과 집중   156
4. 점   158
5. 절지와 화면 밖의 관계  162

VI. 제관과 도장   170
1. 관의 의미  179
2. 제관의 내용 179
3. 제관과 글씨 182
4. 제관의 위치와 그 작용  189

후기  196

부 록 - 산수화의 일곱 가지 관찰 방법  197
걸음걸음마다 보는 방법   208
여러 면을 보는 방법  215
집중적으로 보는 방법  223
멀리 밀어서 보는 방법  226
가까이 끌어 당겨 보는 방법  234
시점을 옮겨서 보는 방법  238
육원을 결합시켜 보는 방법 241

역자후기 248

‘구도’란 형상을 화면 위에 조직하고 배치하여 예술적인 질서를 부가하는 것이다. 그러나 단순히 시각적 문제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회화의 주제나 사상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나아가 한 민족, 한 시대, 한 작가의 심미관이나 개성과도 강하게 연결되어 있다.

특히 동양화는 대상의 파악 방법, 화면의 공간 인식 방법 등에 있어서 언제나 주관적, 추상적 사고가 내재하기 때문에 이 모든 것이 현현되고 통합되는 장場으로서의 구도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다. 또한 동양화는 두루마리나 제관題款, 인장印章 등과 같은 특수한 조형 요소들이 적지 않기 때문에 이 모든 요소와 유기적으로 통일된 화면 구성을 이루어내야만 하며, 그러한 만큼 구도가 매우 세심하게 고려해야 할 중요한 문제이다.

이 책은 이처럼 복잡하고 다양한 동양화의 구도 원리와 특수한 고려 사항들을 화론과 회화 작품의 예를 들어가며 매우 체계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취함과 버림, 주체와 객체, 먼 것과 가까운 것, 큰 것과 작은 것, 흑과 백, 허와 실, 성김과 빽빽함, 느슨함과 긴밀함, 모임과 흩어짐, 가벼움과 무거움, 감춤과 노출, 숨김과 드러남, 열림과 합침 등 10여 개의 중요한 대립극들을 제시하고 이를 음양陰陽의 상생상극相生相克의 원리로 설명한 부분은 동양화 구도 원리의 핵심을 매우 구조적으로 이해시켜준다.

사실 구도의 원리는 시대와 지역, 개인 양식의 변천과 더불어 부단히 변화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법칙으로 규정하기는 어렵다. 그렇다하더라도 이 책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구도와 화면 형식의 원리는 우리가 하나의 작품을 분석하거나 창작할 때 매우 유용한 안목을 제시해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