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진사 로고

메뉴열기

함께, 배우다

사진 예술의 실험적 여정 2. 현실을 넘어 아이디어와 상상력을 찍다

작성일: 2025.05.19

조회수: 70

0

만 레이(Ray, Man/1890~1976/미국) 긴 머리의 여인(Woman with Long Hair/젤라틴 실버 프린트/39.5×29.7cm/1929/파리 퐁피두 센터)



사진가였던 만 레이는 솔라리제이션(Solarization, 사진 인화 과정에서

빛을 다시 노출시켜 이미지의 톤을 반전시키고, 경계를 흐리게 하는 기법)을 사용하여 

여인의 머리카락과 배경의 경계를 흐려 몽환적이고 신비로운 분위기를 연출했다.


19세기 중반 카메라의 개발 이후 사진의 시각은 인상파와 입체파 등

새로운 미술 패러다임에 영향을 미치며, 20세기 초에는 사진이

예술 장르로 독립하게 된다. 또한 초현실주의 등 아방가르드 운동과 함께

예술적, 실험적 도구로 다양하게 발전했다. 이들의 사진은 왜곡된 형상,

기묘한 병치비현실적인 꿈과 상상의 세계를 연상시키며 기록으로서

사진을 너머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며 현대 미술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1. 포토콜라주(Photocollage)

프랑스어 붙이다(coller)’에서 온 말로, 여러 장의 사진을 오려 붙여

새로운 이미지 창작한다이질적인 이미지의 조합으로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며 20세기 초 다다, 초현실주의 작가들이 즐겨 사용했다.


   파블로 피카소(Picasso, Pablo): 회화와 사진을 결합하며 콜라주 작업의 선구

   - 라울 하우스만 (Hausmann, Raoul): 다다이즘의 주요 인물로,

     포토콜라주를 통해 사진과 텍스트를 조합하여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

   마르셀 뒤샹(Duchamp, Marcel): 다다이즘의 선구자로

     일상적인 이미지를 활용한 포토콜라주 작품을 통해 기존 예술 개념에 도전

   - 데이비드 호크니(Hockney, David): 20세기 후반 현대 사진에서

     포토콜라주 기법을 발전시킨 대표적인 인물로, 사진을 조각처럼 이어붙여

     독특한 공간감을 표현하는 조이너 사진(Joiner Photographs, 하나의 대상을

     여러 각도에서 촬영하여 조합)’ 기법을 선보임



2. 포토몽타주(Photomontage)

프랑스어 ‘Montage(조합하다, 편집하다)’에서 온 용어로

사진들의 정교한 합성을 통해 하나의 현실감 있는 이미지를 만든다.

독일 다다이스트들이 발전시킨 기법으로 사회적정치적 메시지

전달에 효과적이며 광고, 선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한나 회흐(Höch, Hannah): 독일 다다이즘의 대표적인 예술가로,

     페미니즘과 정치적 메시지 표현

   - 존 하트필드(Heartfield, John): 독일 다다이즘 및 반나치 예술가로,

     나치 정권을 풍자하고 비판



3. 포토그램(Photogram)

그리스어 ‘gramma(쓰다, 그리다)’에서 파생되었으며 카메라 없이 물체를 직접

감광지 위에 놓고 빛을 쪼여 이미지를 만드는 기법이다물체가 가린 부분은

어둡게 남고 나머지 부분은 밝게 나타나는데,  우연성과 추상적이고

독창적인 형태를 표현할 수 있어 실험적인 사진 작업에서 자주 사용된다.


   - 크리스티안 샤드(Schad, Christian): 다다이즘 예술가. 1918년 포토그램

     기법으로 일상적인 물건(헝겊 조각, 종이 등)을 사용하여 콜라주와 유사한 추상

     이미지를 만들었으며  '샤도그래프(Schadography)'라고 부름

   - 만 레이(Ray, Man): 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 사진 작가로, 1921년경 다양한 

     물체(일상용품, 기하학적 형태, 인체 등)를 사용하고, 빛의 조작을 통해

     더욱 복잡하고 몽환적인 이미지를 만들어 포토그램 기법을 발전시킴.

     ‘레이요그래프(Rayograph), 래비그래프(Levitograph)’라고 부름



샤드(Schad, Christian/1894~1982/독일) 샤도그래프(Schadograph/젤라틴 실버 프린팅-아웃 페이퍼/5.9×8.3cm/1918/뉴욕 현대미술관)

 


4. 시아노타입(Cyanotype)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포토그램과 유사하지만 흑백 이미지를

만드는 포토그램과 달리 시아노타입은 흰색과 프러시안 블루 계열의

이미지를 만드는 청사진 인화 기법. 철염 용액으로 코팅한 종이 위에 물체를 놓고

UV 광선에 노출시킨 후 물로 세척하여 이미지를 얻는 비교적 간단한 초창기 인화 기법으로

식물의 표본이나 건축 도면 복사 등에 많이 사용되었다.


1843년 식물학자인 앳킨스(Atkins, Anna/1799~1871/영국)는 해조류를 시아노타입으로 담아낸 기록 사진을 모아 영국의 해조류 사진: 시아노타입의 인상(1843)을 발간했다.


장지아(1973~/한국) 아름다운 도구들 3-12개의 콜라주(9점 연작 중 부분/시아노타입 콜라주, 설치/193×120cm/2023)

여성 신체와 관련해 사회적으로 금지된 관습을 비판하는 내용을 청사진으로 콜라주해 나타냈다.



 1. 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가 사진 예술의 독립에 기여한 사례는 무엇인가?

 2. 앳킨스의 영국의 해조류 사진이 사진 역사에서 가지는 의의는 무엇인가?

 3. 데이비드 호크니의 조이너 사진이 디지털 시대의 파노라마 사진과 어떤 유사점과 차이점을 가지는가?

 4. 디지털 사진 시대에 이러한 아날로그 실험 정신과 기법이 가지는 의미는 무엇인가?


작성자

미진사 본부장 최진선


참고 사이트

https://www.theartstory.org/movements/photography-focused/

#미술용어#아방가르드#다다이즘#초현실주의#솔라리제이션#포토콜라주#포토그램#시아노타입#포토몽타주#만레이#한나회흐#크리스티안샤드#앳킨스#몽환적이미지#사회비판예술#페미니즘#데이비드호크니#현대미술#사진예술

댓글0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