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샹, 어떻게 현대 미술의 아버지가 되었을까?
첨부파일
- [보도자료] 국립현대미술관 마르셀 뒤샹 전 개최.pdf 923.83 KB
뒤샹(Duchamp, Marcel/1887~1968/프랑스→미국) 에로즈 셀라비(Rrose Selavy)로 분장한 뒤샹(젤라틴 실버 프린트/17.8x13.3cm/
1921년 만 레이 촬영/필라델피아 뮤지엄 소장) 여성 가명을 사용해 작품을 발표했다.
3. 미술 시장과 컬렉터 시스템의 활용
- 미술계 네트워크의 형성
뒤샹은 초기부터 자신의 작품을 옹호하고 이를확산하는 데 도움을 준 인물들의 지원을 받았다.
초현실주의의 리더인 앙드레 브르통(Breton, André)은 뒤샹을 “예술적 반항의 상징”으로 부각시키며
유럽과 미국 미술계에 그를 소개하는 교두보 역할을 했다. 또한, 월터 아렌스버그(Arensberg, Walter),
캐서린 드라이어(Dreier, Katherine) 등 주요 컬렉터들의 후원을 받았으며, 이들은 뒤샹의 작품을
구매하고 전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뒤샹은 큐레이터들에게 자신의 작품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전시 방식을 제안하는 등 아이디어를 제공했다. 뒤샹은 자신의 예술 철학을 이론화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지 않았지만, 그의 철학을 담은 인터뷰, 초기 스케치, 메모 등이 훗날 작품과
동등한 위상으로 전시되기도 했다(1987년 퐁피두 센터 전시). 이는 단순한 작품 전시를 넘어
작가의 사고 과정과 아이디어까지 전시 영역으로 확장한 새로운 방식이었다.
- 미국 미술관들의 현대 미술 정립 전략과 역할
뒤샹은 인터뷰에서 ‘예술가의 의도보다 시스템 자체의 허구성’에 대해 비판했음에도
이 시스템의 수혜자이기도 하다. 뉴욕 현대미술관(MoMA)은 1929년 설립 초기부터
뒤샹의 작품을 소장하며 유럽 모더니즘과 다른 미국 미술의 정체성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뒤샹을
다다이즘의 상징으로 부각시켰다. 또한 월터 아렌스버그와 같은 컬렉터는 대량의 작품을
필라델피아 미술관(Philadelphia Museum of Art)에 기증하며 이 미술관의 핵심 작가로 자리매김하게 했다.
- 레디메이드 복제의 역설
뒤샹은 1964년 밀라노의 슈바르츠 갤러리(Schwarz Gallery)와 협업해 8점의
<샘> 복제품을 제작했다. 1917년의 원본은 소멸된 후였지만, 복제품들은 오히려 뒤샹의
진품 인증서를 획득하며 미술 시장의 권위 구조를 풍자했다. 뒤샹은 이 한정판 <샘>을 통해
예술품의 희소성과 상품성이라는 모순된 가치를 결합하고, 미술 시장의 논리를 역이용했다.
이 복제품들은 전 세계 주요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1. ‘예술가의 예술가’라는 평가는 뒤샹의 작품 수보다 철학적 영향력에 주목한 것인데, 구체적으로 요셉 보이스의 사회적 조각 이론이나앤디 워홀의 대량생산 미학에서 어떻게 뒤샹의 사유가 재해석되었는가?2. 뒤샹은 미술 시장 시스템을 비판하면서도 활용했는데, 이러한 이중적인 태도가 그의 예술적 메시지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3. 뒤샹의 '레디메이드'가 오늘날 디지털 아트 및 NFT와 같은 현대적 예술 형식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레디메이드, 예술가의 ‘선택’이 창조적 행위이다?
브루넬레스키의 소실점 발명이 원근법에 미친 영향은?
풍속화, 삶을 기록하다
풍속화, 과거의 기록이자 현재를 반추하는 거울
뒤샹, 어떻게 현대 미술의 아버지가 되었을까?
사진 예술의 실험적 여정 2. 현실을 넘어 아이디어와 상상력을 찍다
한국인 교수진이 이끄는 미국 미술교육의 새로운 물결, AACIG를 만나다!
팬데믹에서 탄생한 글로벌 미술교육 혁신 네트워크
사진 예술의 실험적 여정 1. 세상을 보기 위해 사진을 찍는다
원근법이란?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