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산 혼합, 감산 혼합: 무엇을 더하고 빼는 걸까?
19세기 이후 발전해온 색상 혼합의 기본 원리로서, 가산 혼합(Additive Mixing)은 빛 에너지를 더하는 것이고,
감산 혼합(Subtractive Mixing)은 빛 에너지를 빼는(흡수하는) 것이다.
결국, 가산 혼합(빛을 더할수록 밝아짐/명도의 증가)과 감산 혼합(색료를 더할수록 어두워짐/명도의 감소)은
명도를 더하고 빼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1. 가산 혼합
빛의 파장을 "더하는" 과정에서 색이 결정된다. 즉 서로 다른 색의 빛을 겹쳐서 비추면,
모든 색의 빛이 결합되어 새로운 색을 만들어 낸다.
· 적용 분야: 디지털 스크린(TV, 스마트폰 화면 등)이나 조명 등 빛을 이용하는 거의 모든 분야
· 3원색- 빨강(Red), 초록(Green), 파랑(Blue)
· 혼합 결과
- 빨강 + 파랑 = 마젠타(붉은 자주색)
- 빨강 + 초록 = 노랑
- 초록 + 파랑 = 시안(청록색과 비슷)
- 세 가지 색 모두 합성 = 흰색 (모든 빛이 합쳐져서 가장 밝음)

빛(색광)의 혼합: 색을 혼합할수록 명도가 높아짐
2. 감산 혼합
빛의 반사와 흡수를 통해 색이 만들어지는 원리로, 빛의 파장을 ‘제거(감산)’하는 과정에서 색이 결정된다.
· 적용 분야: 물감, 잉크, 플라스틱 등과 같이 빛을 흡수하는 색소나 물질을 다루는 모든 분야
· 적용 예시
- 빨간색 옷은 빨간색 빛만 반사하고 나머지 색깔의 빛은 모두 흡수하여 빨갛게 보임
- 검은색 옷은 모든 빛을 흡수하기 때문에 어둡게 보임
- 색료가 많아질수록 더 많은 빛이 흡수되어 어두워짐
· 물감 섞기 예시
- 파란색 물감: 빨강과 초록 빛을 흡수하고 파랑 빛을 반사하지만, 실제 물감 혼합에서는
안료의 종류와 조성법에 따라 혼합 결과가 달라질 수 있음. 이하 물감 섞기도 마찬가지임
- 노란색 물감: 파랑 빛을 흡수하고 빨강, 초록 빛을 반사함
- 파란색 + 노란색 물감 혼합: 두 물감을 섞으면 최종적으로 초록 빛이 가장 많이 반사되어 초록색으로 보임

물감, 염료, 잉크 등의 혼합: 색을 혼합할수록 명도와 채도가 낮아짐
3. 감산 혼합과 가산 혼합 용어의 기원은?
정확한 정립 시기는 불분명하지만 18세기 그 단초가 시작되었고 19세기 후반~20세기 초 널리 사용되었다.
당시 인쇄 기술(감산 혼합)과 전기 조명 기술(가산 혼합)의 발전을 계기로 과학적, 산업적 맥락에서 널리 퍼지게 되었다.
관련 이론가들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 가산 혼합의 발전
- 아이작 뉴턴(Isaac Newton, 1643~1727)은 프리즘 실험을 통해 백색광(당시 단일한 광원을 가진 색이라고 생각했음)이
여러 색깔의 빛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을 발견. 빛의 분산과 합성에 대한 기초를 마련했으며,
가산 혼합의 개념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발견
- 토머스 영(Thomas Young, 1773~1829)은 인간의 눈이 3가지 기본 색(빨강, 초록, 파랑)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삼원색 이론(Trichromatic Theory)의 기초를 세움
- 헤르만 폰 헬름홀츠(Hermann von Helmholtz, 1821~1894)는 삼원색을 실험적으로 입증하고
색 지각의 메커니즘을 자세하게 설명
· 감산 혼합의 발전
- 요한 볼프강 폰 괴테(Johann Wolfgang von Goethe, 1749~1832)는 색채를 빛과 어둠의 상호작용으로 설명하며
색채에 대한 철학적이고 심리학적인 접근을 시도. 그의 이론은 감산 혼합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지는 않지만,
색채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
- 오그던 루드(Ogden Rood, 1831~1902)는 미국의 물리학자이자 아마추어 예술가로 감산 혼합과 가산 혼합의 원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며 예술과 과학 분야의 색채 이해에 영향을 미침
19세기 후반~20세기 초 이외에도 많은 연구자들이 색채 이론과 광학, 예술 및 과학의 교차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1. 디지털 페인팅 프로그램에서 레이어(Layer)와 블렌딩 모드(Blending Mode)는 가산 혼합과 어떤 관련이 있을까?2. 중간 혼합(Intermediate Mixing)은 가산, 감산 혼합과 어떤 관계가 있을까?3. 화가의 색 혼합(Painter's Mixing)은 감산 혼합과 어떤 관련이 있을까?
작성자
미진사 본부장 최진선
참고 사이트
공판화, 티셔츠 그림부터 예술 작품까지! (1)
평판화, 새기지 않고 찍어내는 예술
유클리드가 제시한 세상의 규칙은 어떻게 원근법의 토대가 되었을까?
공공 미술, 미적 자율성과 공공성은 어떻게 만날 수 있을까?
색이란 무엇인가?
가산 혼합, 감산 혼합: 무엇을 더하고 빼는 걸까?
미술사 끝판왕 사이트, 왜 무료로 공개할까?
판화의 넘버링, 예술의 희소성과 대중성 사이
상상화란 용어는 어디서 왔을까?
추상 미술은 하나의 유파일까?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