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판화, 새기지 않고 찍어내는 예술
평판화(Planographic Printmaking)는 영어 ‘플라노(Plano, 평평한)’와 ‘그래픽(graphic, 그리다, 표현하다)’에서
유래한 단어로, 판면을 새기지 않고 평평한 판에 잉크를 묻혀 찍어내는 판화 기법을 의미한다.
회화처럼 자유 분방한 선과 농담 효과가 가능하며 데칼코마니와 일부 현대 인쇄 기법은 평판화의 원리를 응용한
사례로 볼 수 있다. 특히 평판화는 전통 기법의 예술성을 유지하면서도 디지털 기술과의 결합을 통해
현대적 창작과 산업적 효율성을 동시에 추구한다. 회화적 표현과 대량 생산의 장점을 동시에 지닌 석판화는
전통적으로 크게 2가지로 나뉜다.
1. 석판화 (Lithography)
샤갈(Chagall, Marc/1887~1985/러시아→프랑스) 서커스의 르 마리아주(석판화/52×37.5cm/1967년)
고대 그리스어 ‘리토스(lithos, 돌)’과 그래피(graphy, 그리다, 쓰다)의 합성어로 석판과 같은 평평한 면에 유성과 수성의
반발 원리를 이용하는 판화 기법이며 포스터와 같은 상업적 용도로도 사용된다.
상업적 석판화의 대표적 예로 오프셋 인쇄(Offset Printing)는 판에 잉크를 묻혀 고무 판에 이미지를 전사한 후,
이를 종이에 대량 인쇄하는 방식이다. 책, 잡지, 포스터 등 현대 인쇄 산업 전반에 사용된다.
또한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는 사진 이미지를 감광재를 이용해 판 위에 전사하고,
석판화의 물과 기름의 반발 원리를 이용해 인쇄한다. 사진과 판화의 결합으로 현대 상업 인쇄, 포스터 제작, 예술 작품
등에서 활용된다.
제작 방법: 석판(주로 석회암) 또는 금속판 위에 유성 안료(크레용, 해먹, 유성펜, 색연필 등)로 그림 그리기
→ 아라비아 고무액 등을 판면에 발라 친수성 부분을 고착 → 물에 적신 스펀지로 판면을 깨끗이 닦음
→ 유성 잉크 칠하기 → 석판용 프레스기로 찍어내면 유성 재료가 묻은 부분만 종이에 전사됨
2. 모노타이프 (Monotype)
고든(Gordon, Grady/미국) 『나흐트 나흐트(NACHT NACHT)』(모노타이프/2015년)
이 작품은 작가가 2년 동안 제작한 모노타이프 판화를 모은 아트북(에칭 인쇄)이다. 고든은 플렉시글라스(Plexiglas) 표면에 검은 잉크를 두껍게 칠한 후 일부를 닦아내거나 긁어내는 방식으로 독특한 질감이 있는 불길한 해골, 인물들을 창조한다. 그는 다양한 문화의 신화를 참조하여 집단적 무의식을 표현한다.
1. 평판화는 주로 어떤 예술 분야에서 활용될까?2. 상업 인쇄에서 평판화가 여전히 사용되는 이유는 무엇일까?3. 평판화는 언제 처음 시작되었으며, 역사적으로 어떤 예술 운동과 관련이 있을까?4. 평판화가 다른 디지털 아트와 융합된 사례가 있을까?
조소: 신체, 사물, 공간의 관계 속 3차원의 형태 (1)
공판화, 티셔츠 그림부터 예술 작품까지! (2)
공판화, 티셔츠 그림부터 예술 작품까지! (1)
평판화, 새기지 않고 찍어내는 예술
유클리드가 제시한 세상의 규칙은 어떻게 원근법의 토대가 되었을까?
공공 미술, 미적 자율성과 공공성은 어떻게 만날 수 있을까?
색이란 무엇인가?
가산 혼합, 감산 혼합: 무엇을 더하고 빼는 걸까?
미술사 끝판왕 사이트, 왜 무료로 공개할까?
판화의 넘버링, 예술의 희소성과 대중성 사이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