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판화, 티셔츠 그림부터 예술 작품까지! (2)
2. 실크 스크린 (Silk Screen)
실크(Silk, 비단)와 스크린(Screen, 망사)을 사용하는 전통적인 공판화 기법으로 초기에는 실크 소재의 스크린을
사용했던 데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현대에는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터 같은 합성 섬유가 주로 사용된다.
이후 감광액(Photo Emulsion) 도입으로 사진 이미지를 정밀하게 재현하며 대량 생산이 가능해진 공판화는
현대 상업 인쇄나 예술 작품 제작에 널리 사용된다. 앤디 워홀은 1960년대 대중문화와 예술의 경계를 허문
팝아트 운동에서 실크 스크린을 상징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이 기법의 예술적 가능성을 재발견했다.
제작 과정: 실크 스크린 틀에 그림 그리기 → 실크 망에 감광액 도포 → 빛에 노출시켜 감광액을 굳힘 → 미노출 부분을 물로 세척 → 틀 위에 잉크를 놓고 스퀴지로 밀어서 찍어 냄
워홀(Warhol, Andy/1928~1987/미국) 메릴린 먼로(부분-10점 세트/실크 스크린/91.5×91.5cm /1967년/뉴욕현대미술관(MoMA) 소장
워홀이 사용한 다색 스크린 프린팅(Multicolor Screen Printing)은 여러 개의 스크린 틀을 사용하여 다양한 색상을 겹쳐 인쇄하는 데 있어 색상 정렬(Registration) 마크를 사용해 각 색상 층이 정확히 맞도록 해야 한다. 그런데 워홀은 이를 미세하게 어긋나게 하여 독특한 예술적 효과로 활용하였다.
1. 공판화가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에 끼친 영향은?2. 스텐실 아트에서 재활용 소재 활용법은?3. 워홀은 실크 스크린을 어떻게 활용하였고 팝아트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조소: 신체, 사물, 공간의 관계 속 3차원의 형태 (1)
공판화, 티셔츠 그림부터 예술 작품까지! (2)
공판화, 티셔츠 그림부터 예술 작품까지! (1)
평판화, 새기지 않고 찍어내는 예술
유클리드가 제시한 세상의 규칙은 어떻게 원근법의 토대가 되었을까?
공공 미술, 미적 자율성과 공공성은 어떻게 만날 수 있을까?
색이란 무엇인가?
가산 혼합, 감산 혼합: 무엇을 더하고 빼는 걸까?
미술사 끝판왕 사이트, 왜 무료로 공개할까?
판화의 넘버링, 예술의 희소성과 대중성 사이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