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소: 신체, 사물, 공간의 관계 속 3차원의 형태 (2)
1. 형태적 분류
심조 매의 머리를 한 호루스 신(부분/ 이집트 이시스 신전 벽면)
-환조(丸彫, Round Sculpture/Sculpture in the Round)는 '둥글게 조각한다'는 의미에서 유래했다.
완전한 입체로 제작하여 360도 모든 방향에서 감상할 수 있다.
-부조(浮彫, Relief Sculpture)는 浮(부, 떠오르다)를 써서, 평면 위에 솟아오른 듯한 반입체적 형태를 말하며
정면이나 한 방향에서 감상할 수 있다. 높이에 따라 고부조, 중부조, 저부조로 나뉜다.
-투조(透彫, Openwork Sculpture, pierced carving)는 透(투, 뚫여 있다)를 써서,
조소의 한 부분을 완전히 뚫어내어 공간감을 강조하는 기법이다.
-심조(深彫, Deep Relief/Intaglio)는 深(심, 깊다)자를 사용하여 평면을 안쪽으로 깊게 파들어가는 방식을
말한다. 음각의 형태로 표현되며, 주로 동전이나 인장 등에서 볼 수 있다.

길버트(Proesch, Gilbert /1943~/영국)와 조지(Passmore, George/1942~/영국) 노래하는 조각(퍼포먼스/1969년)
20세기 이후 기존의 재료나 양식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새로운 기술이 접목되며 공간의 의미가 부각된다.
작가가 직접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기성품을 작품으로 제시하는 레디메이드(Ready-Made), 오브제(Objet),
정크 아트(Junk Art, 폐품 미술), 어셈블리지(Assemblage), 움직임을 추가한 모빌(Mobile), 키네틱 아트(Kinetic Art),
인체를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작품화하는 퍼포먼스, 작품이 놓이는 장소와 환경이 중요해지는
설치 미술(Installation Art), 대지 미술(Land Art) 등으로 확장된다.
1. 새로운 재료들은 조소 표현의 가능성을 어떻게 확장했나?
2. 전통 조소와 추상 조소, 미니멀 조소, 개념 미술 등 현대 조소와의 연관성은 무엇일까?
3. 현대 조소에서 문화적 정체성은 어떻게 표현되고 있나?
파리 갤러리 지도: 19가지 미술을 보다
이우환, 텅빈 화면에 점 하나인 작품이 왜 수십억을 호가할까?
오브제, 사물이 어떻게 예술 작품이 되는가?
조소: 신체, 사물, 공간의 관계 속 3차원의 형태 (2)
조소: 신체, 사물, 공간의 관계 속 3차원의 형태 (1)
공판화, 티셔츠 그림부터 예술 작품까지! (2)
공판화, 티셔츠 그림부터 예술 작품까지! (1)
평판화, 새기지 않고 찍어내는 예술
유클리드가 제시한 세상의 규칙은 어떻게 원근법의 토대가 되었을까?
공공 미술, 미적 자율성과 공공성은 어떻게 만날 수 있을까?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