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진사 로고

메뉴열기

수업, 나누다

주변 환경과 내 안에서 선을 감지하기

작성일: 2025.07.09

조회수: 24

0

첨부파일

  • [지도안] 미술1-9. 감지하리, 선!-주변 환경과 내 안에서 선을 감지하기.hwp 16.5 KB
  • [활동지] 미술1-9. 감지하리, 선!-주변 환경과 내 안에서 선을 감지하기(우리가 찍은 선 분석하기).hwp 10.5 KB


주변에서 발견한 다양한 선을 카메라로 촬영하고, 그 선들이 주는 느낌을 그림으로 표현해 보자. 

벽의 균열, 나뭇가지의 흐름, 길 위의 패턴 등 우리가 일상 속에서 무심코 지나쳤던 선들은 

저마다의 이야기를 품고 있다. 주변의 선을 탐구하고 예술로 재해석하는 과정에서,

나도 몰랐던 나의 내면과 외부에 숨어 있는 선들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단순히 선을 그리는 행위를 넘어, 새로운 연결 고리를 찾아가는 여정이 될 것이다.



문석민(학생 작품) 빛으로부터(종이에 목탄/2절/2015년)


김민섭(학생 작품) 수풀로부터(종이에 펜/4절/2015년)


유재성(학생 작품) 먹으로부터(종이에 먹물/2절/2015년)


이혜정(학생 작품) 바구니로부터(종이에 연필/4절/2015년)


골즈워디(Goldsworthy, Andy/1956~/영국) 개암나무 막대기 던지기, 컴브리아 산비탈(사진/37.5×48.5cm/1980년)


광복 70주년 기념 퍼포먼스로 한센과 어린이들의 태극기 그리기 공연이다.(세종문화회관 특설무대/AK Plaza/2015년)


이요나(1986~/한국) 선 작업(철골/가변 크기/2012년)


 1. 일상에서 무심코 지나친 선들이 각각 다른 이야기를 품고 있다는 것을 어떻게 발견하고 표현할 수 있는가?
 2. 선을 탐구하고 예술로 재해석하는 과정에서 나와 내면, 그리고 주변 환경 사이에 어떤 새로운 연결 고리를 찾을 수 있는가?
 3. 카메라로 촬영한 선들이 그림으로 변형될 때, 그 선들의 감정적이나 시각적인 의미는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가?


작성자
미진사 편집부

참고 자료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미술① 교과서 56, 57쪽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미술① 지도서 100, 101쪽
#주변#환경#선#사진#촬영#표현#감정#조형요소#먹#탐색#일상#퍼포먼스#주변환경#카메라#감정#시각

댓글0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