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진사 로고

메뉴열기

수업, 나누다

분리수거함에서 찾아낸 질서

작성일: 2025.07.25

조회수: 30

0

첨부파일

  • [지도안] 미술1-11. 무질서와 질서 사이-분리수거함에서 찾아낸 질서.hwp 29.5 KB
  • [활동지] 미술1-11. 무질서와 질서 사이-분리수거함에서 찾아낸 질서.hwp 17.5 KB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분리수거품을 활용해 창의적인 작업을 시도해 보자. 

모양, 색, 재질을 기준으로 분리수거품을 분류하고, 그 조합을 통해 새로운 작품을 만들어 보는 것이다. 

버려진 물건에서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고, 

재활용을 예술적 탐구로 확장함으로써 환경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경험할 수 있다.



분리수거물

조현우(학생 작품) 팝컵(분리수거물 종이컵과 실/23.4×31.8cm/2015년)

김혜빈(학생 작품) 빨대의 성장과 변화(빨대/2~20cm/2015년)

쉴레(Schiele, Egon/1890~1918/오스트리아) 무릎을 구부리고 누운 여자(종이에 수채, 구아슈와 목탄/29.7×46.3cm/1917년)

베얼리(Wehrli, Ursus/1969~/스위스) 무릎을 구부리고 누운 여자


 1. 버려진 물건에서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고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어떤 창의적 가능성을 탐구할 수 있는가?
 2. 분리수거품을 활용한 창작이 단순한 재활용을 넘어 예술적 탐구로 확장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3. 분리수거품을 활용한 작업이 환경에 대한 인식과 창의적 사고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작성자
미진사 편집부

참고 자료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미술① 교과서 71쪽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미술① 지도서 118쪽
#분리수거#색#배열#정리#환경#환경보호#조합#재배열#조형요소#조형원리#재구성#리사이클#재활용#가능성

댓글0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