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질서로 작품 만들기
첨부파일
- [지도안] 미술1-11. 무질서와 질서 사이-새로운 질서로 작품 만들기.hwp 18 KB
버려진 물건을 분해하고 재구성해 새로운 작품을 만들면 어떤 형태가 나올까?
물건을 해체하며 각 부품의 형태와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조합하여 예술적 질서를 부여해 보자.
기존 물건의 의미를 넘어 새로운 시각적 가치를 창출하고,
창의적 발상과 환경 보호의 메시지를 담은 작품을 완성할 수 있을 것이다.
곽규재(학생 작품) 시간 허수아비(컴퓨터와 손목시계 부품/25×15cm/2015년)
서동휘(학생 작품) 레이더(휴대전화 부품/26×20cm/2015년)
이승준(학생 작품) 디지털 괴물(전구와 콘센트 부품/8×18cm/2015년)
이진원(학생 작품) 나의 에너지(콘센트와 각종 전자 기기 부품/10×24cm/2015년)
양민주(학생 작품) 외계 기계(컴퓨터 부품, 건전지 및 각종 전기 부품/높이 20cm/2015년)
박원(학생 작품) 새로운 친구(USB 선풍기 부품/높이 14cm/2015년)
코벳(Corbett, James/1969~/호주) 푸른 키다리 제피로스 딱정벌레(차 부속품을 용접/높이 43cm, 긴 쪽의 너비 79cm/2012년)
1. 버려진 물건을 분해할 때 어떤 요소(형태, 재질, 구조적 특징)를 중점적으로 관찰해야 할까?
2. 단순한 조합이 아니라 예술적 표현을 극대화하려면 어떤 점을 고려해야 할까?
3. 다양한 재질과 형태를 가진 부품들을 조화롭게 배치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소인국 이야기
원근과 착시를 이용한 사진 작품 만들기
친구를 만화 캐릭터로
가늘고 섬세한 선의 판화, 드라이포인트
한 장밖에 찍을 수 없는 판화, 모노타이프
여러 색의 공판화로 내 얼굴 표현하기
원통을 굴려 재미있는 볼록 판화 찍기
사물의 특징을 살린 문자 표현하기
나를 상징하는 이미지로 도장 만들기
상징적 소재를 사용하여 이야기하는 민화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