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진사 로고

메뉴열기

수업, 나누다

곡면 위에 피어난 산수화

작성일: 2025.07.30

조회수: 36

0

첨부파일

  • [지도안] 미술1-12. 전통의 향기로 피어나다-곡면위에 피어난 산수화.hwp 30.5 KB


전통 산수화의 준법 기법을 배우고 이를 현대적인 입체 산수화로 재해석해 보자. 

준법을 통해 자연의 질감을 표현하는 동양화의 미적 가치를 이해하고, 

이를 입체적으로 변형하여 새로운 차원의 예술을 탐구할 수 있다. 

전통과 현대, 평면과 입체를 결합한 나만의 산수화를 표현해 보자.



강세황(1713~1791/조선) 영통동 입구(송도기행첩 부분/종이에 수묵 담채/32.9×53.5cm/1757년경)


김채은(학생 작품) 영통동 입구 모작(종이에 먹/8절/2015년)


김건 외 31명(학생 작품) 입체 수묵 산수화(종이컵에 먹/높이 30cm, 너비 95cm/2015년)



 1. 전통 산수화에서 준법은 자연의 질감을 묘사하는 데 어떻게 활용되며, 그 중요성은 무엇인가?

 2. 산수화를 모방하며 동양화의 미학과 감각을 체감하는 과정에서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작성자
미진사 편집부

참고 자료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미술① 교과서 75쪽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미술① 지도서 124, 125쪽


 

#산수#산수화#동양화#한국화#전통산수화#수묵#삼묵법#농담#여백#종이컵#입체산수#종이컵산수#재해석#준법#종이컵#먹#문방사우

댓글0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