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진사 로고

메뉴열기

수업, 나누다

상징적 소재를 사용하여 이야기하는 민화

작성일: 2025.08.07

조회수: 38

0

첨부파일

  • [지도안] 미술1-12. 전통의 향기로 피어나다-상징적 소재를 사용하여 이야기하는 민화.hwp 31 KB


민화의 상징적 요소를 현대적 시각으로 재구성해 보자. 

민화 속의 전통적 소재들이 담고 있는 의미를 현대 사회의 주제와 결합하면, 

전통과 현대가 조화를 이루는 독창적인 작품을 만들 수 있다. 

현대 사회의 다양한 이야기를 표현하면 전통과 현대가 조화를 이루는 독창적인 작품이 탄생할 것이다.



홍예림(학생 작품) 시험을 잘 보는 방법(한지에 채색/42×39cm/2015년)


김상겸(학생 작품) 야식 배달(한지에 채색/42×36cm/2015년)


김요한(학생 작품) 내가 HOT뜨거 핫(한지에 채색/42×39cm/2015년)


이동욱(학생 작품) 시간을 달려서(한지에 채색/42×39cm/2015년)


민화 책거리(6폭 병풍의 부분/종이에 채색/각 17×33cm/19세기)



 1. 민화의 소재와 상징을 활용해 현대적인 시각으로 재구성하면 어떤 새로운 예술적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는가?

 2. 민화가 담고 있는 소망, 풍요, 행복과 같은 상징적 언어를 현대 사회의 이야기에 적용하면 어떤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가?

 3. 전통적인 민화를 재해석하여 현대 사회의 갈등이나 문제를 표현할 때 어떤 접근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가?



작성자
미진사 편집부

참고 자료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미술① 교과서 78쪽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미술① 지도서 128쪽


#동양화#한국화#민화#수묵#수묵담채#수묵담채화#진채#진채화#현대민화#현대#전통

댓글0

목록으로